[1~2월 강의질문] 주자와 이황 리와 기,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2월 06일 20시 54분
- 조회수
- 301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본연지성과 기질이 묘합하여 형성된 성이 기질지성입니다. 즉, 기질지성은 ‘기질-중-본연지성’입니다. 만약 말씀하신 ‘기질을 타고 발한 성’이 ‘기질-중-본연지성’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그 성은 기질지성입니다. 그렇지 않고 그것이 기의 작용인 마음의 작용에 따라 발한 ‘성’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이때 성은 본연지성입니다. 사덕은 본연지성의 본질적 내용입니다. 사단은 마음의 작용에 따라 사덕이 온전히 발현한 정입니다. 그런데 사덕이 마음의 작용에 따라 발현된다고 해서 사덕이 기의 속성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본연지성이 기질에 의착해 있다고 해서 본연지성이 기질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2. 이발설, 이존설, 이도설을 이황의 독창적 이론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 [김규빈 회원님의 글] ▒▒▒▒▒▒
주자와 이황 모두 리(천리, 이일)는 순수지선하다고 했습니다.
이일(리)이 만물(기)에 품수된 것이 본연지성(이일)이고, 품수된 만물의 기에 영향을 받는 본연지성이 기질지성입니다.
질문드리겠습니다.
1. 주자에서 정은 성이 발하여 나타난 것이라고 했습니다.
(물론, 성은 스스로 발할 수 없으므로 성이 기질을 타고 발한 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사람이 우물로 기어가는 아기를 보는 지각작용을 하게되면, 본연지성인 인이 그 사람의 기질을 타고 발하게 되는데, 이때 기질이 맑으면 측은지심(정)이 나타나고, 기질이 탁하면 측은지심이 나타나지 않잖아요..?
이때 본연지성이 기질을 타면 그건 기질지성인가요? 그럼 인의예지는 본연지성인가요 기질지성인가요? 여기서 기질을 타고 발한 성은 본연지성인가요?기질지성인가요?아니면 구분할 수 없는건가요?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ㅠㅠㅠ
2. 주자와 이황의 차이점은, 이황이 리를 더 강조했고 리의 발을 인정했다는 것 말고는 없나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