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소연
등록일
2018년 02월 07일 20시 14분
조회수
80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드립니다! 1. 교재 340쪽 2번째 논점의 공동체주의 첫 번째 줄에 '자유주의입장은 한 개인을 다른 사람들과 구분해주는 개인의 가치관을 무시함으로써 개인들의 개성을 획일화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제가 보았을 때 이건 자유주의의 문제점이 아닌 공동체주의의 문제점으로 와닿는데 제가 잘못 이해한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샌델의 심정적 공동체에서 구성원들 사이의 심정적 유대가 존재한다고 하였는데 이건 동료와의 애착과는 다른 것인가요? 강의에서 교수님께서 심정적 공동체에선 동료와의 애착이 없다고 하셔서 두 개가 다른 건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3. 베버가 직업 정치가가 가져야할 태도에서 열정을 이야기하며, 그 열정을 대의에 대한 뜨거운 확신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대의'라는 게 대의제에서의 대의를 의미하는 건지 네이버 사전의 첫 번째 의미인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영어로 된 글을 보게 되었는데 문장에 대의가 영어로 matter in hand 되어있었습니다. 그러면 당면한 문제로 해석해야 하는 것인지, 그리고 당면한 문제로 해석해버리면 열정은 당면한 문제에 대한 뜨거운 확신으로 해석이 되는데 이 때의 확신은 그럼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확신인지...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좋을까요? ㅠㅠ 3-1. 그리고 교재 357쪽 마지막 문장에는 열정이 '대의에 대한 뜨거운 헌신' 으로 나오는데 '확신'과 '헌신'을 같은 의미로 보는 건가요? 4. 하버마스에 보면 합리화라는 단어가 꽤 많이 나오는데요, ex)의사소통 행위의 합리화, 사회적 합리화, 도구적 합리화, 생활세계의 합리화 과정 등.. 여기서 합리화라는 말을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ㅜㅜ 합리화의 의미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그리고 합리성은 이성의 종류 중 하나로 보면 될까요? 5. 하버마스의 생활세계의 의미 중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상식, 관습 그리고 전통 등에 의한 상정적으로 구조화된 의미 연관'에서 '상정적으로 구조화된 의미 연관'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ㅠㅠ 6. 하버마스 보충자료 13쪽 체계에 관한 설명에 보면 '경제체계와 행정체계에서 개인들의 사회적 통합은 의사소통 합리성에 입각한 개인들의 주체적 참여를 통해서가 아니라 효율성을 목표로 한 기능적 연관을 통해 이루어지며 그러한 기능적 연관은 화폐와 권력을 통해 조절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능적 연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