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벤담 공리주의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2월 19일 13시 36분
조회수
9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선지에 대한 해석 내용에 잘못된 점은 없습니다. “행위자의 쾌락보다 행위에 의해 영향 받는 사람들의 쾌락을 더 중요시한다.”라는 문장보다는 “행위자의 쾌락이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에 의해 영향 받는 사람들의 쾌락이 중요하다고 본다.”라는 문장이 벤담의 윤리 이론과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 ▒▒▒▒▒▒ [정미경 회원님의 글] ▒▒▒▒▒▒ 벤담을 기출문제와 함께 공부하다 제가 생각하는 것이 옳은 해석인가 하여 질문드립니다! 벤담 기출 中, "행위에 의해 영향 받는 사람들의 쾌락보다 행위자의 쾌락이 중요하다고 본다."는 벤담의 입장에 부합하지 않는 선지로, 이에 근거는 행위자의 쾌락을 중요시 하는 것은 개인적 쾌락주의로 벤담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추구할 것을 명령하는 공리의 원리를 최상의 도덕원리로 삼는 사회적 쾌락주의의 입장을 주장하기에 틀린 선지라고 해석하였는데 제 해석이 맞는건가요? 만약 선지가 "행위자의 쾌락 보다 행위에 의해 영향 받는 사람들의 쾌락을 더 중요시한다."면 벤담의 입장에서 옳은 선지로 볼 수 있는건가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행복한 설 명절 보내세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