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재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2월 21일 18시 22분
조회수
15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합리적 선택이 올바른 것이 되기 위해서는 추구하는 목적은 올바른 것(올바른 욕구)이어야 하고, 목적 실현을 위한 최선의 수단에 대한 숙고는 참이어야 합니다. 이 두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합리적 선택만이 올바른 합리적 선택입니다. 달리 말해서 두 조건 모두 혹은 둘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합리적 선택은 올바른 합리적 선택이 아닙니다. 2. 성품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를 갖춘 사람은 항상 올바른 목적만을 욕구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목적에 대한 최선의 수단을 항상 올바르고 숙고하여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이므로, 그의 합리적 선택은 항상 올바른 합리적 선택입니다. 3, 4. 추구하는 목적의 좋거나 나쁨, 이성적 숙고 결과의 참 혹은 거짓 여부와 상관없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수단에 대한 이성적 숙고를 동반하는 모든 선택은 합리적 선택입니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절제한 사람의 무절제한 행위를 합리적 선택의 산물이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아마도 질문자께서는 어떤 선택 혹은 판단에 대해 우리가 ‘합리적’이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그러한 선택 혹은 판단은 참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합리적’이라는 용어의 일반적 의미를 고려해 보면 그러한 생각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의 합리적 선택에서 ‘합리적’이라는 용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의미를 지닌 용어가 아닙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합리적 선택이 합리적인 이유는 단지 그것이 이성적 숙고를 동반한 선택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이성적 숙고의 참, 거짓을 고려되지 않습니다. ▒▒▒▒▒▒ [김규빈 회원님의 글] ▒▒▒▒▒▒ 재질문 합리적 선택은 우리에게 달린 숙고적 욕구입니다. 여기서 성품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가 올바른 합리적 선택을 위한 내적 토대라는 것은 이해가 됩니다. 성품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를 갖추어야만 올바른 합리적 선택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니까요. 저는 여기서 합리적 선택에 의해 발생한 행위가 왜 좋은 행위와 악한 행위를 모두 포괄하는지에 의문이 듭니다. 숙고적 욕구는 '목적을 지향하는 욕구'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이성적 숙고'의 결합입니다. 여기서 목적을 지향하는 욕구는 성품의 탁월성과 관련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이성적 숙고는 실천적지혜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여기서 합리적 선택에 의해 발생한 행위가 악한 행위라는 것은 욕구도 잘못되고 수단에 대한 숙고도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미로, 합리적 선택에 의해 발생한 행위가 좋은 행위라는 것은 욕구도 올바르고 수단에 대한 숙고도 올바르게 이루어졌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될까요? 그리고 전자는 성품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가 없고, 후자는 성품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가 있다고 보면 맞나요?? 2. 맞다면 둘 중 하나만 잘못되는 경우는 있을 수 없는거죠? 성품의 탁월성과 실천적지헤는 함께 이루어지는 것인데, 둘 중에 하나는 올바르고 하나는 올바르지 않을 수가 있나요..?) 3. 그렇다면 합리적 선택은 단순히 욕구와 이성이 함께 작용만하면 합리적 선택인건가요? 4. 그렇다면 합리적 선택은 말 그대로 합리적인 선택은 아닌 것인가요? 왜냐하면 악한 행위를 이끄는 선택이 정말 합리적인 선택은 아닐테니까요.. 헷갈립니다ㅠㅠ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