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유종연
- 등록일
- 2018년 03월 11일 17시 08분
- 조회수
- 81
- 첨부파일
-
이황은 '태극동이생양, 태극정이생음'과 더불어 '리생기'와 '리선기후'의 실재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발을 인정하여 리가 기를 낳는다는 주장은 성리학의 기본구조인 리기불상리를 어기는 것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다시 말해, 리가 기를 낳는다는 말은 세상에 기가 없었던 때가 있었다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그렇게 되면 리기불상리에 반대하는 것은 아닌지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그리고 이황의 성론과 관련하여 교재에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에서 기인했다고 적시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이를 이황의 본체론과 관련지어 볼 때, 본연지성이 발하여 기질지성을 낳았다고 봐도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주자는 인간이 만들어 질 때, 이일이 기질에 품수되고 나서 이일 자체만 본 것을 본연지성이라하고, 그러한 성과 기질을 같이 묶어 설명한 개념이 기질지성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고 있기에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은 선후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황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이에서도 생이나 선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봤나요?
질문 요약
1. 이황은 리발을 근거로 하여 리생기와 리선기후의 실재성을 인정하였는데, 이것과 리기불상리가 같이 갈 수 있는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2. 이황의 관점에서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에서 기인했다는 것에 대해, 본연지성이 먼저 있고 그것이 스스로 발하여 기질지성이 된 것인지, 만약 그렇다면 성에도 리생기과 같은 낳음, 선후 개념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