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3월 18일 10시 43분
조회수
125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이황은 리발이라는 관점에 근거해 세계 생성 시점에서 리가 기의 존재 근원이 됨을 인정합니다. 그런데 리와 기가 결합하여 형성된 현실 세계에서 ‘리생기’는 능동적 작용을 통해 형질을 지닌 개체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리의 능동적 작용력을 긍정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본연지성이 기질지성의 근본이라는 이황의 주장은 본연지성이 개인을 특정한 모습으로 있게 하는 능동적인 힘을 소유하고 있다는 주장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유종연 회원님의 글] ▒▒▒▒▒▒ 이황은 '태극동이생양, 태극정이생음'과 더불어 '리생기'와 '리선기후'의 실재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발을 인정하여 리가 기를 낳는다는 주장은 성리학의 기본구조인 리기불상리를 어기는 것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다시 말해, 리가 기를 낳는다는 말은 세상에 기가 없었던 때가 있었다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그렇게 되면 리기불상리에 반대하는 것은 아닌지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그리고 이황의 성론과 관련하여 교재에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에서 기인했다고 적시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이를 이황의 본체론과 관련지어 볼 때, 본연지성이 발하여 기질지성을 낳았다고 봐도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주자는 인간이 만들어 질 때, 이일이 기질에 품수되고 나서 이일 자체만 본 것을 본연지성이라하고, 그러한 성과 기질을 같이 묶어 설명한 개념이 기질지성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고 있기에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은 선후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황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이에서도 생이나 선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봤나요? 질문 요약 1. 이황은 리발을 근거로 하여 리생기와 리선기후의 실재성을 인정하였는데, 이것과 리기불상리가 같이 갈 수 있는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2. 이황의 관점에서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에서 기인했다는 것에 대해, 본연지성이 먼저 있고 그것이 스스로 발하여 기질지성이 된 것인지, 만약 그렇다면 성에도 리생기과 같은 낳음, 선후 개념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