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주자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3월 21일 17시 56분
조회수
248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게습니다. 1. 주희의 ‘정’ 개념은 사단뿐만 아니라 칠정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정이 사단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면, 칠정의 근원은 무엇인가입니다. 주희 사상의 전문가들은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한 답을 주희의 글에서 찾을 수 없다고 평가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성발위정에서 성을 기질지성으로 보는 것일테지요. 왜냐하면 기질지성을 리와 기를 모두 체현하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이에 대해 주희가 직접적으로 언급한 말은 없습니다. 조선 유학자들이 펼친 사단칠정 논쟁은 이와 같은 주희의 불명확한 입장에서 발생한 것입니다. 2. 성발위정은 주희가 오로지 성과 정의 관계에만 초점을 맞추어 둘의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한 개념입니다. 여기에 마음을 관련시켜 심통성정의 관점에서 성과 정의 관계를 보게 되면, 성의 발은 마음의 작용의 산물이 됩니다. 따라서 리무위, 기유위의 관점과 성발위정은 모순되지 않습니다. ▒▒▒▒▒▒ [이영인 회원님의 글] ▒▒▒▒▒▒ 주자의 성정문제가 해석의 여지가 남아 후대에 이견이 분분한 걸로 알고있습니다. 교재를 보면서 성정문제와 이와 관련하여 사단칠정론에 대한 주자의 입장에 대해 궁금한점을 여쭙겠습니다. 1.주자의 성과 정 부분(교재 447p)에서 성발위정이 나옵니다. 이 부분에서 교재 내용과 인용된 원문에는 성은 본연지성만을, 정은 사단만 해당하는 내용이 실려있습니다. 이 때 성이 정확히 본연지성만을 지칭하는 것인지 본연지성을 포함한 기질지성까지 해당되는 것인지 알고싶습니다. 또한 정이 교재에 나온대로 사단만을 지칭한 것인지, 아니면 사단을 포함한 칠정까지 해당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2. 만약 성이 본연지성만을 가리킨 것이라고 한다면, 주자는 리무위 기유위라는 본체론적 입장을 전제하는데 리인 성이 발한다는 게 모순적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성(본연지성)발위정(사단)', 이 부분만 보면 소주에 따라 사단을 본연지성에 분속시킨 이황의 입장과 동일하다고 보고 오히려, 이 측면만 잘라서 본다면, 리발을 인정한 이황이 논리적으로 더 타당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이러한 이해가 바람직한지 여쭤보고싶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