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서양 질문
- 작성자
- 오현정
- 등록일
- 2018년 04월 06일 17시 21분
- 조회수
- 63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선생님 항상 성의있는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1. 하이데거 : 인간의 본질은 그 대상적 속성 뿐만 아니라 존재 방식에서도 찾아야 한다.라는 말이
실존을 본질이 아닌 현존재의 존재 방식에서 찾으라는 말로 이해해도 되겠습니까?
2. 시즈윅의 세 가지 직관에 의해 자명한 원리가 형식적이라는 말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박애나, 타산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 아닙니까? 정확히 형식적인 것, 내용의 원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그리고 합리적이라는 말은 이성적으로 타당함을 일컫는 말로 이해해도 되겠습니까? ㅠㅠ
3. 강의하실때 시즈윅 철학적 직관주의 + 공리주의(보편적 쾌락주의)가 결합하여 공리주의 원리 도출했다고 하셨는데 앞에서 말한 공리주의(보편적 쾌락주의)와 뒤에서 말하는 공리주의(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객관적으로 옳은 행위는 그 행위에 의해 그들의 행복이 영향을 받는 모든 사람을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최대량의 행복을 산출하는 행위, 최상의 원리) 다른가요???
4. 윤리적 자연주의에서는 가치들이 자연적 속성을 지니므로 가치판단은 객관적 기준으로 사실판단과 같이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다고 이해했습니다.
가치 실재론(무어)에서는 가치들이 객관적이고 비자연적인 실재이기 때문에 가치판단의 진위여부는 객관적 기준에 의해 판단 가능하다고 이해했습니다.
두 입장 모두 가치판단에 객관적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까?
5. 공리주의자인 시즈윅과 무어 모두 행복과 선을 동일 개념으로 보고 있는겁니까?
교재에 혼합하여 쓰고 계신것같아 여쭙니다
5.도덕규범은 직관을 통해 파악되는 형이상학적 실재로 환원된다. 로스에 해당되는 말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