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기출분석교재 p.391쪽,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장서현
- 등록일
- 2018년 06월 05일 20시 11분
- 조회수
- 85
- 첨부파일
-
1.
최선의 정치 체제에 대한 루소의 입장에 대한 설명에서,
루소는 민주제를 '국민과 주권자가 여러 관련하에서 고찰된 동일한 사람이 되는' 정치 체제로 정의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이 정의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루소에게 주권은 이미 국민에게 있는 것 아닌가요?ㅠㅠ
민주정이든 귀족정이든 군주정이든 주권은 모두 국민 전체에게 있고, 저 분류는 집행권에 따른 분류인데 루소가 특히 민주제를 저렇게 정의하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2. 교과교육론 강의도 함께 듣고 있어 같이 질문드리겠습니다.
피아제의 인간관에서
인간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덕규칙을 획득하는 무도덕적 존재인데,
또 다른 설명에서는 인간은 이타적인 도덕적 삶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하면서 이는 프로이트의 반사회적 이기성과 대립된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무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본래 모습과, 도덕적 삶을 추구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설명이 서로 모순되는 것 같아 보이는데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항상 자세하고 쉬운 설명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