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존 듀이 윤리학과 충동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6월 27일 10시 17분
조회수
8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1. 듀이는 윤리학의 대상과 주제들은 과학의 방법을 적용하여 파악되고 해명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도덕과학으로 불려야 한다고 봅니다. 칸트에게 있어서 윤리학은 학문의 위상을 가집니다. 2. 충동은 동일한 환경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충동은 지성적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환경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거나 충동을 해소할 수 있는 최선의 수단에 대한 숙고 없이 무조건적으로 충동을 해소하고자 하는 맹목적인 성격을 지닙니다. 이로 인해 충동은 환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닙니다. ▒▒▒▒▒▒ [송미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 있습니다~ 듀이 가 윤리학을 도덕과학으로 보았다. 즉 과학. 학으로 보았다라고 설명이 되어있는데, 다른 사상가들이 윤리학의 가능성? 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칸트의 윤리학. 이렇게 있으면 이거는 과학 이 아닌 학문? 이죠?? ㅜㅜ 그리고 존 듀이가 충동의 성격을 융통성: 환경과의 관련 속에서 다양하게 표현→단순한 반작용이 아님 이렇게 보았는데 또 다른 성격은 환경에 대한 효과적 반응을 하지 못하는 맹목성을 지녔다고 합니다. 융통성과 맹목성이 어떻게 함께 있을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ㅜ 매번 좋은 강의와 명쾌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