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행위공리주의 벤담과 밀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6월 27일 10시 49분
- 조회수
- 14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심리적 쾌락주의에서 윤리적 쾌락주의를 도출하는 오류는 밴담과 밀의 고전 공리주의가 지닌 문제점입니다. 여기서 윤리적 쾌락주의는 사회 전체를 쾌락을 추구할 것을 인간에게 부여된 최상의 의무로 간주하는 윤리적 입장입니다. 이로부터 고전 공리주의의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즉, 심리적 쾌락주의에서 추구되는 것은 개인의 쾌락인 반면, 심리적 쾌락주의에 기초하여 확립된 윤리적 쾌락주의에서 추구되는 쾌락은 사회적 쾌락인데, 고전 공리주의는 이 둘 사이에 존재하는 비약을 정당화해 주는 적합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였다는 것입니다.
▒▒▒▒▒▒ [송미정 회원님의 글] ▒▒▒▒▒▒
행위공리주의의 문제점이
심리적 쾌락주의에서 윤리적 쾌락주의를 도출하는 것 이라고 되어있는데
여기서 윤리적 쾌락주의가 사회적 쾌락을 추구하는 것인데,
윤리적 쾌락주의란 쾌락을 추구하는게 도덕적이라는 것 아닌가요????
근데 이게 왜 사회적 쾌락과 연결되는지 모르겠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