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공리주의와 몇가지 의문점

작성자
송미정
등록일
2018년 07월 09일 11시 18분
조회수
86
첨부파일
공리주의에서 1. 다수결의 원칙과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관련이 있을까요? 2. 쾌락주의적 행복주의인가요? 3. 벤담도 싱어처럼 이익관심과 쾌고감수능력을 이야기 했나요? , 맞다면 쾌고감수능력은 감수성과 동일한 용어인가요? 4. 밀은 질적차이를 고려하라고 하였으며 양적차이는 행복의 척도가 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밀은 질적 양적차이를 모두 고려하라고 하였나요? 만약 이 말이 맞고, 질적차이가 행복의 본질적 척도라면 밀의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양은 적지만 높은 질을 가진 쾌락과, 양은 많지만 낮은 질을 가진 쾌락중 더 높은 쾌락은 당연히 후자이므로 비판받을 이유가 없지 않나요? 5. 공리주의의 성격이 반이기주의인데, 이를 이타주의라고 봐도될까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