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실천적지혜와 성품의 탁월성, 철학적 지혜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7월 10일 20시 26분
- 조회수
- 238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성품의 탁월성이 없다면 실천적 지혜가 생겨나지 않고, 실천적 지혜가 없다면 성품의 탁월성은 생겨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 철학적 지혜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철학적 지혜를 소유한 상태가 인간의 참된 행복입니다. 실천적 지혜는 그러한 행복에 이르기 위한 일종의 수단입니다.
3. 소크라테스는 지덕복합일을 주장합니다. 플라톤은 덕복합일을 주장하기는 하나, 지덕일치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기 때문에 지덕복합일을 주장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덕일치에 반대합니다. 하지만 행복을 철학적 지혜에 따른 관조적 활동으로 봄으로써 덕복일치를 주장합니다.
▒▒▒▒▒▒ [송미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1. 실천적 지혜는 성품의 탁월성의 필요조건,
성품의 탁월성은 실천적 지혜의 필요조건이란 말은
이 둘이 필요충분조건이다 라는 말과 동일한 것 인가요?
2. 그리고 철학적 지혜와 실천적 지혜부분애서 이 두 지혜는 누가더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없죠?
3. 마지막으로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모두 지덕복합일설이라고 할 수 있나요?
플라톤은 지덕일치와 지행일치 인정 불인정 두관점으로 나뉘기도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지덕일치를 거부했음으로 소크라테스만 지덕복합일설이라고 보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덕복합일. 이런식으로 봐야하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