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드려요!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7월 17일 17시 48분
조회수
14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자유의지를 자기원인적 의지로 정의하는 것은 매우 피상적인 정의이므로, 이 정의를 중심으로 두 학파의 자유의지 개념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좋은 방식이 아니라고 봅니다. 중요한 것은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의 자유의지 개념입니다. 따라서 그 개념들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스토아학파의 ‘자연’ 개념은 우주만물의 지배하는 자연의 이법, 즉 자연법입니다. ▒▒▒▒▒▒ [송미정 회원님의 글] ▒▒▒▒▒▒ 질문수가 많았는데도.. 친절한 질문 답변 감사합니다ㅠㅠ 교수님이 답변해준 것중에 조금 더 궁금한 것이 생겨 마저 질문하겠습니다! 1. 교수님 그렇다면 칸트가 인과적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은 신만이 가능하다고 하였는데.. 덕이 원인이고 결과는 행복이라고 볼 수 있나요? (덕에 상응하는 행복) 교재 <참고> 를 보면 덕이 행복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사태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행복은 현상계의 필연적인 자연법칙의 산물로서 의지의 도덕적 심정에 결코 의존하지 않기때문이다. ~ 하지만 그는 도덕적 의지를 가진 주체가 덕에 상응하는 행복, 달리 마해서 도덕성의완성의 결과로서 행복을 누리는 것을 욕구하는 것은 필연적이여서 이 인과적 결합의 가능성을 보여주어야할 과제에 직면한다고 합니다. 이는 신에 의해 가능한 것이고요.. 근데 제가 이해하기로는 덕이 행복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고 보여지는데 조금만 더 설명해주실수있을까요? 2. 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학파 에서 등장하는 자유의지와 자기원인적의지는 동의어 인가요? 동의어가 아닌건가요..??? 스토아도 자기원인적의지인건가요? 3. 그리고 스토아의 자연법이라는 것이 세계의 존재질서를 규정하는 자연의 이법으로서의 자연법인데, 여기서 말하는 자연이 풀이나, 그런 모든 주위환경? 그런 자연인가요? 아니면 스스로자 그럴연 의 자연인가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