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구성주의 관련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7월 17일 18시 24분
- 조회수
- 131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구성주의의 원류는 칸트이므로, 칸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칸트에 의하면 도덕법칙은 실천이성이 입법한 것, 달리 말해서 실천이성에 의해 구성된 것입니다. 실천이성은 보편성과 필연성이라는 이성의 선험적 형식에 따라 도덕법칙을 구성하기 때문에, 그렇게 구성된 도덕법칙은 개인 내면에서 구성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보편성과 필연성을 지니게 됩니다. 구성주의자들은 이러한 칸트의 인식론적 구성주의의 정신을 수용하여 정신 내면의 인지 과정을 거쳐 보편적인 도덕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 [조성민 회원님의 글] ▒▒▒▒▒▒
교과교육에서 구성주의라 함은 인지주의, 즉 콜버그와 신콜버그학파인 레스트와 튜리엘을 포함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구성주의에서 도덕은 외부의 사회적 규칙을 내면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해석과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구성해내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구성주의자들은 도덕의 보편성을 주장하고있습니다.
개인 내부에서 구성의 산물인 도덕은 필연적으로 주관성을 가질 수 밖에 없는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