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주권 개념과 루소의 완전가능성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7월 25일 15시 49분
- 조회수
- 17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보댕이 말하는 주권은 정치적 주권입니다. 즉, 정치 사회에서 정치 사회를 지배하는 최고 권력으로서의 주권입니다. 자연상태에서 자연인이 모두 주권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이 말은 자연인들이 모두 정치적 주권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지배할 수 있는 권리를 각자 가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2. ‘자연인을 자연상태로부터 이끌어 낸다’라는 말은 완전한 자유와 평등을 향유하고 있었고 자연적 선함을 소유했던 자연인의 타락을 의미합니다.
▒▒▒▒▒▒ [서수림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로크와 홉스의 자연상태에서 자연인은 모두 ‘자기 자신을 지배할 수 있는 최고 권력 혹은 권리’으로서의 주권을 소유한 주권자입니다.
주권은 분할불가능성을 지니고 있어서 최고권력이 두명에게 있으면 안된다 고 장보댕의 주권개념에서 설명되고있는데요, 이 주권이란 개념이 로크와 홉스의 주권에도 동일한 의미잖아요? 근데 저 위글은 예전에 교수님이 어떤 질문에 답변해주신건데, 자연인 모두가 주권자라고 하면 분할불가능하다는 주권의 특징에 위배되지 않나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루소의 완전가능성 설명에서 완전가능성은 자연인을 자연상태로부터 이끌어낸 주요 원인으로 간주한다. 자연인을 자연상태로부터 이끌어낸다는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