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롤즈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권은지
등록일
2018년 07월 27일 10시 18분
조회수
67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롤즈의 정의론과 정치적 자유주의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먼저, 정치적 자유주의 파트 질문입니다. 1. 민주주의 사호ㅚ란 다양한 이익 욕구들, 철학적 종교적 도덕적 교리들로 분열되어 있는 합당한 다원주의 사회라고 정의가 되는데 이때 '합당한'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사전 상 의미는 '알맞은'이라고 나와있고 교재 뒷 부분에 합당성에 대한 내용과 매치 시켰을 때도 맥락이 이해가 잘 되지 않았습니다.. 2.정의감에 대한 능력을 가진 사람은 합당한 존재라고 했습니다. 이때 합당성의 정의 중 '판단의 부담을 인식하고 판단의 부담의 결과를 받아들이는 자발적 의지'라는 부분이 책임과 관련된 내용인가요? 3. 중첩적 합의가 도덕적 근거 위에서 확립된다는 중첩적 합의의 성격이 나온 부분에서 정치적 정의관이 개인들이 지닌 포괄적인 교리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제공하는 종교적 철학적 도덕적 근거에 기초되어 입안이 된다라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강의 때 교수님께서 교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 의해 지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라는 말씀을 하셨는데 강의 후 시간이 지난 뒤 봐서 그런지 연결이 잘 안되네요.. 4. 교재 185p에 합리적 직관주의와 정치적 구성주의를 비교한 표에서 정치적 정의의 원칙은 실천 이성의 구성의 산물이다 라는 부분에서 실천이성을 공적이성으로 이해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5. 롤즈 후에 다른 학자들이 롤즈는 자유주의적 평등중의자라고 평가 했습니다. 그런데 184p에 롤즈는 자신의 자유주의가 평등주의적 형태의 자유주의임을 분명히 한다라는 부분을 보고 자유주의적 평등주의와 평등주의적 자유주의가 동의어인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다음으로, 정의론 파트에 대한 질문입니다. 1.원초적 입장에서의 철학적 가정은 제한 조건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면 정의의 원칙 또한 제한 조건인가요? 2.공정한 기회 균등으로서의 평등은 실질적 기회의 평등인가요? 3. 교재 174p에 공유자산으로서의 개인의 자연적 능력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사회적 존재로서 개인의 행복은 사회 협동체에 달려있다.' 이 부분을 보고 롤즈는 개인을 사회적 존재로 보는 건가요? 롤즈는 개인들이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서 사회 속에서 협동하여 살기를 원하고 사회가 붕괴되는 것은 원치 앉는다는 점을 알고 있는데 롤즈가 정의론자이면서도 자유주의자이므로 개인 자체를 사회적 존재로 보는지 궁금했습니다...! 여기까지 질문을 마치겠습니다. 항상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