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블라지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8월 05일 17시 52분
조회수
25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도덕적 자아 모델 이론을 구성하는 세 구성 요소를 말씀하신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보충 자료 16쪽에 세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2. 도덕적 자아 모델에서 사용된 개념과 도덕적 인격 모델에서 사용된 개념을 구분하여 각각 숙지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도덕적 자아 모델에서 도덕적 정체성의 결과물이었던 도덕적 의지는 도덕적 인격 모델에서 도덕적 인격의 본질로 간주됩니다. 그리고 도덕적 자아는 도덕적인 것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이해하는 자아, 달리 말해서 도덕적인 것을 자신의 본질로 간주하는 자아입니다. ▒▒▒▒▒▒ [한희원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남기는데요 ! 이상한 질문일수도 있는데 공부하다보니 잘 정리가 안되서요 ㅠ 1. 블라지는 도덕적 행위가 산출되는 과정과 관련해 도덕적자아모델을 제시했는데 도덕적자아모델의 3가지 요소가 있다고 하셨는데 정확하게 3가지요소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요.. 도덕적이해, 도덕적정체성, 자기(자아)일관성을위한내적욕구와 책임판단 이렇게 3가지로 보면 되는건가용 ... ? 그리고 도덕적이해라 하면 도덕판단과 의무판단을 합해서 부르는것이 맞나요 ? 2. 블라지 파트에 나오는 개념들이 너무 비슷해서 헷갈리는데요 ㅠ 도덕적의지를 도덕적정체성에서 기인하는 자기일관성을 위한 내적욕구와 같은것으로 봐도 될까요? 그리고 도덕적인격이 도덕적정체성과 같은개념으로 봐도 무방하다는것은 알겠는데 그럼 도덕적자아도 저것들과 같은개념으로 봐도될까요? 항상 친절하신 답변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