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8월 13일 17시 55분
- 조회수
- 141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 의하면, 철학적 지혜는 실천적 지혜가 없어도 성취 가능합니다.
2. ''자제력 없음이 악덕이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한편은 합리적 선택에 어긋나는 것이고, 다른 한편은 합리적 선택에 따르는 것이니까.''에서 ‘한편’은 악덕을 말하는 것이고, ‘다른 한편’은 자제력 없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자제력 없는 사람은 자신이 내린 올바른 합리적 선택에 반하여 행동하는 사람입니다.
3. 본래적 실존의 성격에 대한 두 학자의 입장을 각각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김예은 회원님의 글] ▒▒▒▒▒▒
1. 철학적 지혜에 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단이 실천적 지혜라고 하셨는데
그럼 철학적지혜는 꼭 실천적 지혜가 있어야 도달할 수 있나요^^?
구분지어서 실천적지혜가 없지만 철학적 지혜가 있다고 언급한 철학자 지문을 본것 같아 질문남깁니다..^^
2. 혹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제력 없음이 악덕이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한편은 합리적 선택에 어긋나는 것이고, 다른 한편은 합리적 선택에 따르는 것이니까.''
이 글은 자제력없음이 행위원리는 알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것으로만 해석함 되는걸까요? 한편과 다른 한편을 저렇게 해석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자제력 없는 사람은 신실한 합리적 선택은 할 수 있으나 그에 반하여 행동하는 사람인가요~^??
3. 키에르케고르와 하이데거의 본래적 실존 비교는 정의를 비교하기만 하면 될까요, 아니면 무신론ㆍ유신론의 입장이나 단독자/타인과의 관계에어의 책임 지는 여부까지 적어야할까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