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흄, 맹자
- 작성자
- 장서현
- 등록일
- 2018년 08월 17일 00시 59분
- 조회수
- 62
- 첨부파일
-
1
흄에서,
도덕적 행위의 동기, 도덕의 기초, 도덕적 가치 등 도덕과 관련된 것들의 동기, 원인은 반성인상(정념, 도덕적 시인과 부인의 감정)으로만 말해야 정확한 것이 아닌가요??
예시 답안들을 읽어보면 쾌락과 고통의 감정 혹은 그로부터 비롯한 정념이라는 의미로 서술되어 있어서 쾌락과 고통 그 자체인 근원적 인상만으로도 원인에 해당된다는 느낌이 들어서요!
2
맹자 18번 제시문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첫줄에 제시된 천작, 인작에 대한 글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이, 맹자 원문을 찾아보니
옛사람들은 하늘의 작위를 닦음에 사람의 작위가 따라왔다. 요즘 사람들은 하늘의 작위를 닦아서 사람의 작위를 요구한다. 사람의 작위를 얻으면 하늘의 작위를 버리는데, (이는) 미혹됨이 심한 것이다. 결국에는 반드시 (사람의 작위도) 잃게 될 뿐이다.
이렇게 나와 있었는데요,
옛사람들은 하늘이 내려준 벼슬을 닦으니 자연스럽게 인작이 따라왔는데, 요즘 사람들은 하늘이 내려준 벼슬인 인의를 즐겁게 행하고 싫증 없이 할 수 있는 그런 능력을 그 자체로 목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인작을 얻기 위해 수단적으로 얻는 점을 비판한 부분인건가요?? 그래서 인의를 본질, 근본으로 삼지 않는 태도는 예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고, 결국 절도와 조화에 맞지 않게 되어 인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의미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