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하버마스 합리성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8월 21일 23시 26분
조회수
20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하버마스는 서구 사회의 합리화 과정을 도구적 합리화의 보편화와 이에 수반되는 합목적 행위의 제도화 과정으로만 제한한 베버의 관점에 반대하여, 서구 사회의 근대화 과정은 의사소통행위의 합리화 또한 이루어진 과정으로 봅니다. 그에 의하면, 이러한 성격을 지닌 서구 사회의 합리화 과정에서 생활세계로부터 체계가 분리되어 나오는데, 체계는 의사소통합리성이 지배하는 곳이 아니라 도구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곳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하버마스가 부정적으로 본 것은 도덕적 합리성만이 지배하는 체계에 의한 생활세계의 식민화입니다. 질문 감사합니다. “하버마스는 사회적 합리화를 도구적 합리화의 보편화와 합목적 행위의 제도화 + 의사소통 행위의 합리화로 보므로, 베버의 도구적 합리성을 인정한다고 이해하였는데 그 이후의 설명에서 체계를 비판적으로 보는 것으로 보아 불인정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베버와 마찬가지로 하버마스는 도구적 합리화를 서구 사회 합리화 과정의 주요 특징으로 봅니다. 하버마스는 생활세계가 도구적 합리성만이 지배하는 체계에 의해 완전히 종속되어 버린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할 뿐, 서구 사회의 합리화 과정의 한 특징이 도구적 합리화라는 점을 부정한 것은 아닙니다. “도구적 합리성이 아닌 의사소통합리성만을 긍정하는 것으로 보면될까요? 그 또한 아니라면 의사소통의 합리성에 강조점을 찍은 것일 뿐 도구적 합리성도 어느정도 받아들인다고 보면 될까요?”: 하버마스는 체계에 의한 생활세계의 식민화로 인해 시민들 사이의 자율적 의사소통행위의 위축을 현대 사회의 문제점의 핵심으로 봅니다. 그리고 그는 공론장을 중심으로 한 시민들 사이의 자율적 의사소통을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방법으로 간주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버마스가 의시소통행위의 합리성을 강조한 것입니다. 합목적적 행위에서 작동하는 합리성이 도구적 합리성입니다. ▒▒▒▒▒▒ [서수림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하버마스의 체계는 도구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세계라고 말씀하셨는데.. 하버마스는 사회적합리화를 도구적 합리화의 보편화와 합목적 행위의 제도화 + 의사소통 행위의 합리화 로 보므로, 베버의 도구적 합리성을 인정한다고 이해하였는데 그 이후의 설명에서 체계를 비판적으로 보는 것으로보아 불인정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제 이해가 잘못된 것 같아 어떤 게 맞는지 설명부탁드립니다! 아니라면 도구적 합리성이 아닌 의사소통합리성만을 긍정하는 것으로 보면될까요? 그 또한 아니라면 의사소통의 합리성에 강조점을 찍은 것일 뿐 도구적 합리성도 어느정도 받아들인다고 보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도구적 합리화 = 합목적 행위 의 개념을 같다고 보면 될까요? 감사드립니다 ^^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