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혼합정, 공화정, 버크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8월 28일 16시 02분
- 조회수
- 209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1. 혼합정의 성격 때문에 현대 정치철학자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 사상을 공화주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권력의 균형과 공공선의 강조, 시민의 광범위한 정치 참여의 보장과 공정한 법에 의한 통치, 그리고 광범위한 정치 참여를 통해 형성되는 시민의 덕성과 자유 등 혼합정은 공화정이 지닌 기본 특성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2. 마키아벨리는 로마 공화주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키케로의 공화주의와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습니다. 단, 공부할 때에는 두 학자의 이론을 각각 있는 그대로 숙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평등화는 개인들 사이의 위계 질서와 그러한 위계 질서를 확립했던 전통적 사회 제도를 파괴함으로써, 거대 권력을 소유한 중앙 집권적 국가를 탄생시켰고, 이전 사회에서 국가로부터 개인을 보호했던 전통적인 사회 제도의 붕괴로 인해 개인은 강력한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 대상이 됨으로써 개인의 자유가 심대하게 훼손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것이 버크의 진단입니다.
▒▒▒▒▒▒ [서수림 회원님의 글] ▒▒▒▒▒▒
질문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혼합정이 왜 공화정이랑 관련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그리고 키케로의 공화주의와 마키아밸리의 신로마공화주의를 꼭 구분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마지막으로 버크 자유와 평등의 양립 불가능성에서
자유주의적 평등이 왜 개인의 자유를 보호했던 사회의 다양한 결사체를 파괴하여 개인을 거대 국가에 예속시키고 개인 자유를 파괴하는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