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국제관계이해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8월 28일 17시 14분
조회수
11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국제 사회가 무정부 상태라는 것은 개별 국가들의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의 권력체, 공통의 규범 및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2. 국제 관계 이론으로서의 자유주의는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입니다. 따라서 자유주의와 기능주의 및 신기능주의를 분리하여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3. 초국가적 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말은 개별 주권 국가뿐만 아니라 국제 기구나 다국적 기업과 같은 특정 개별 국가에 종속되지 않는 초국가적 존재의 행위 또한 국제 관계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강조한다는 말입니다. 이처럼 다원주의는 국제 관계에서 초국가적 존재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다원주의는 초국가적 존재의 지배를 국가 통합 정도를 파악하는 결정적 기준으로 삼지 않습니다. 다원주의는 교유의 집중도, 지속성, 상호 이익에 대한 인식도가 통합된 정치 공동체의 구조적 긴밀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봅니다. ▒▒▒▒▒▒ [서수림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국제관계이해 질문드립니다. 1. 국제관계이해에서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모두 국제관계를 무정부적 상태라고 보고있는데 여기서 국제관계가 무정부상태라는 말이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정부가 없어 혼란스럽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요..? 어떤 정부가 없는것인지.. 이상주의와 비교해서 설명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2. 그리고 현실주의 이상주의가 국제평화를 어떻게 이룰지에 주안점을 두고 기능주의 신기능주의는 국가통합에 주안점 구성주의도 국가통합에 주안점인데. 자유주의에 기능주의 신기능주의가 있는것이니까, 자유주의도 국가통합에 주안점인가요??? 자유주의 일반적특징에 국제평화실현방법을 이야기하고있어서 질문합니다! 3. 다원주의에서는 초국가적 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초국가적 권위에 의해 지배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라는 텍스트들이 있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초국가적이란 말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초국가적 행위의 중요성은 국가를 넘어서 국제적 행위의 중요성이라고 보면 될 것 같은데... 통합된 정치공동체가 초국가적 권위에 의해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은 이해가 안갑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