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민주주의와 권위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서수림
등록일
2018년 08월 30일 17시 07분
조회수
70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민주주의와 권위 질문 있습니다. 1. 인구,사회학적 대표성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특정부류나 계층을 대표하여 소수자를 보호가능하다고 하는데.. 문제점에는 이 대표성을 엄격히 적용할 경우 오히려 지금까지 불이익을 받던 소수 집단은 계속 불이익을 감내해야한다고 합니다. 개념이 명확히 확립되어있지않다보니 소수자를 보호한다고하던 논변과, 문제점에서 소수자가 계속 불이익을 받는다는 논변이 상충하는 것으로밖에 안보이네요 ㅜㅜ 2. 경쟁민주주의는 경쟁하는 이익의 균형이라는 개념이 주요가치로 강조된다고 하는데요, 시장을 모델로 삼는 경쟁민주주의가 무엇인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ㅜㅜ 3. 심의민주주의와 사법적 심의모델에서 학술적 토론상황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사법부의 심의 모델 을 예로 들고 있는데.. 명확히 알고싶습니다! 4. 롤스의 정치적 정의관에서 정치적 정의관은 포괄적 교리가 아니라서 자유로운 입장에서 다양한 교리들을 조정하고 화해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말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그리고 포괄적교리란 단어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모든 교리를 포괄적 교리라고 하는건가요? 다양한교리=포괄적교리 로 봐도 되나요? 그리고 교리들을 조정하고 화해할 수 있다는 말은 합의를 도출할수도 있다는 것인가요? 아니면 합의대상은 정치적 정의관이기 때문에 그것까진 생각해보지 않아도 되는 것인가요! 5. 회피의 방법과 그것의 문제점에서 특정한 정치적 선과 가치에 대해 헌신하겠다는 사전약속은 자유로운 합의라는 이상에 배치된다고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사전약속이란 특정한 정치적 선과 가치에 헌신하겠다로 정의된 것인가요? 롤스가 그렇게 이야기 한 것인가요? 아니면 이 민주주의와권위의 저자께서 롤스가 정치적자유주의에서 특정한 영역에만 중첩적합의를 국한시켜 이야기했기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예시로 든 것 뿐인가요? 긴 질문이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