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09월 11일 18시 04분
조회수
39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개인의 선관에 대한 국가의 중립은 불가능하며, 바람직하지도 않다는 것, 그리고 권리, 정의, 옳음은 선과는 독립해 있고 그것보다 우월한 독립적 가치가 아니라 선 특히 공공선의 입각하여 그 의미와 중요성이 결정된다는 샌델의 공동체주의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2. 도와 합일한 절대적 정신적 경지에 이르기 위한 일종의 수양의 방법으로 장자가 강조한 것이 상아, 좌망, 심재입니다. 이명, 인시, 도추, 양행은 성심에서 비롯된 상대적이고 차별적 지식에서 벗어나 제물의 경지 혹은 만물제동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원칙, 달리 말해서 도를 근원으로 하는 세계의 참된 모습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기 위한 방법적 태도로 장자가 제시한 것입니다. 3. 가치 분석 수업 모형은 학생들에게 그들이 내린 가치판단의 논리적 정당성을 입증하도록 요구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이 내린 가치판단의 근거를 합리적으로 숙고하게 하여 가치의 선택과 그것에 따른 행동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 수업 모형이기 때문입니다. ▒▒▒▒▒▒ [박성재 회원님의 글] ▒▒▒▒▒▒ 1. 교과서(금성출판사)에 샌델의 ‘정의의 원칙의 정당화’라는 주제로 개인과 공동체에 대한 샌델의 입장을 소개하고 있는데 전체 문장을 옮겨보면 “‘개인의 주장과 공동체의 주장 가운데 어떤 것을 더 중요시해야 하는가?’라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고, ‘사회 기본 구조를 규제하는 정의의 원칙이 과연 그 사회에 속한 시민들이 지니고 있는 여러 도덕적 . 종교적 확신과 상충하는 경우에도 중립을 지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이다. (중략) 정의의 원칙의 정당화는 그 원칙이 기여하게 될 목적이 지닌 도덕적 가치와 본래적 선에 달려 있다. 하나의 권리에 대한 인정은 그 권리가 아주 중요한 인간적 선을 존중하고 고양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라고 나와있는데, 이러한 샌델의 입장이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인가요? 롤즈가 주장한 것처럼 정의의 원칙은 좋음의 관념에 우선하며 그와 독립적인 도덕적 범주인 옳음에 부응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하는 문장인지,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지 궁금합니다. 2. 절대적인 정신적 자유(소요유)에 이르는 방법, 즉 도와 합일하기 위한 방법이 이명, 인시, 도추, 양행 등인지, 아니면 심재, 좌망, 상아 등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절대적인 정신적 자유에 이르기 위해서는 성심에서 기인하는 온갖 인위적이고 상대적인 지식과 욕구를 제거하는 심재, 좌망 등의 수양을 통해 도와 합일하게 되면 이명, 인시, 도추, 양행 등이 가능해진다고 이해했는데 저의 이해가 잘못되었는지 궁금합니다. 3. 가치분석 수업모형에서‘가치원리는 판단을 내린 사람에게 수용될 수 있어야 한다.’ 라고 했는데 왜 그 판단을 내린 사람에게 수용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인가요? 바람직한 가치원리라면 다른 사람들도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가치원리여야 하는게 아닌지, 즉 다른 사람들도 수용할 수 있어서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가치원리가 되어야 하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