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서양윤리사상5에 윤리학적 입장종류 22번 칸트 로스 지문 질문드려요 ~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9월 18일 20시 49분
- 조회수
- 7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문제를 다시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갑과 을은 서양 근대 윤리 사상가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2. 말씀하신 것은 롤즈가 근거로 제시한 것이 아닙니다. 롤즈는 사회는 협동체이기 때문에, 그것에는 이익의 연쇄 관계가 존재하며, 그러한 연쇄 관계에서 모든 사회 구성원의 이익이 되는 최선의 분배 방식은 최소수혜자의 이익을 기여하는 방식의 분배라고 주장합니다.
3. 질문을 좀더 구체화하여 다시 올려 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이동신 회원님의 글] ▒▒▒▒▒▒
(가)에 갑지문은 칸트, 을 지문은 밀인데 밀 지문이 현대 윤리사상가를 설명하는 지문이라고 문제에서 요구되고, 만족한 돼지 보다는 만족한 인간 되는 게 낫고, 만족한 바보 되는 것보다 만족하지 못한 소크라테스 되는게 더 낫다는 지문인데..왜 이 지문이 현대 사상가인 로스를 설명하는 지문인지 모르겠어요 ~~ 답변 좀 부탁드려요 ㅠㅠ
글구 정치 롤즈 16번 문제 답에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 이익이 되는 것이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이익이 되는 것과 같다는 말이..인강에서 인생 전반에 대한 최수수혜자의 기대치가 높아지면 최대 수혜자의 기대치도 높아지기 때문에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이 근거 말고 혹시 사회는 상호이익을 위한 상호무관심하고 합리적인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들이 서로 협동하는 사회체계이기 때문에 그 협동을 통해 생겨난 공동의 자산을 좀 보람있게 사회 전체에 쓰고 싶어서 최소수헤자에게 이익이 되도록 쓴다고 봐도 그 근거가 될까요? 최소수혜자에게 최대 이익이 된다는 것이 모든 사회 구성원 전체에 이익이 된다는 것과 왜 동일한 말인지 설명 좀 부탁드려요 ~
글구 기출문제 분석에서 2014-a-2번 주희 문제에서 객관적 궁리 대상영역은 선지후행을, 극진한 앎에 이르름을 언급할 때 지행병진을 강조했다고 풀이에서 밝혀주셨는데 왜 극진한 앎에 이르름이 괄호 안에 들어가야 하는지 궁금해요 ~
답변 부탁드려요 ~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