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노직 5번 질문드려요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09월 18일 20시 54분
- 조회수
- 181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필요에 따른 분배를 정의의 원칙을 삼는 정의론은 노직의 관점에서 볼 때 비역사적인 정형적 정의론이로고, 노력, 업적 등을 분배 원칙으로 삼는 것은 역사적인 정형적 정의론입니다. 노직은 롤즈의 정의론을 정형화된 비역사적 정의론으로 간주합니다만, 이러한 노직의 평가는 아무런 중요성도 지니지 않습니다.
2. 공적 이성이 아니라 일반적인 이성 능력을 말하는 것입니다.
▒▒▒▒▒▒ [이동신 회원님의 글] ▒▒▒▒▒▒
교수님께서 역사적, 비정형적 정의관은 노직 소유권리론 밖에 없고, 역사적 정형적 정의관은 노력에 따른 분배, 비역사적 정형적 정의관은 공리주의라고 설명해주셨는데 기출 2011-39 3번 선지에 구성원들의 공로나 노동의 성과에 상관없이 필요에 따른 분배는 정형적인 비역사적 정의관 맞나요~?
그래서 필요나 롤즈, 공리주의는 정형화된 비역사적 정의론이고, 교수님 교재에 보면 노동 시간, 노력, 업적, 가치 등에 의한 분배는 역사적인 정형화된 정의관이고, 노직만 역사적인 비정형적 정의관이라고 정리하면 될까요~~?
더불어서 롤즈 정치적 자유주의에서 민주사회 시민의 특성이 이성적 능력과 그것을 통해 구현되는 정의감능력과 선관형성능력인데 이 때의 이성적능력을 공적 정의관에 입각하여 공정한 협력 조건을 만드는 공적이성이라고 봐도 될까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