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블라지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10월 03일 11시 36분
- 조회수
- 207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내적 자기 일치의 욕구(자기 일관성)은 그 자체로는 도덕적으로 중립적인 것입니다. 즉, 어떤 형태의 정체성이든(예를 들어 도덕적 정체성이 아니라 기업가로서의 정체성), 정체성을 소유한 사람은 자신의 정체성에 부합하고 그것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며, 이로 인해 정체성에 부합하는 행동을 수행하게 됩니다. 도덕적 이해가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되어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되게 되면, 내적 자기 일치의 욕구는 도덕적 정체성을 일관되게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 달리 말해서 도덕적 이해 혹은 도덕판단에 따라 행동하고자 하는 욕구라는 성격을 지니게 됩니다. 이러한 욕구는 자신이 내린 도덕판단을 이행하고자 하는 강한 책임감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1. 도덕적 정체성을 일관되게 유지하고자 내적 자기 일치의 욕구와 도덕적 책임감 사이에 선후 관계는 없습니다.
2. 도덕적 책임감은 콜버그 – 캔디 모형에서 말한 책임판단입니다. 실제로 콜버그-캔디 모형에서이 책임판단은 책임 의식 혹은 책임감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3. 내적 자기 일치의 욕구와 그것에 직접적으로 결부되어 있는 도덕적 책임감이 도덕적 행위의 동기로 작용합니다.
▒▒▒▒▒▒ [신현우 회원님의 글] ▒▒▒▒▒▒
블라지
원문에는 책임판단으로부터 행동으로의 이행은 자기 일관성에 의해 지지된다.라고 되어 있는데.
도덕적 이해를 바탕으로 도덕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이를 근거로 도덕적 책임감이 향상되고 자이일관성을 향한 경향성에 의해 행동이 산출된다. 라고 이해했는데....
선생님 수업을 들어보면
도덕적 정체성으로부터 나온느 내적 자기 일치의 욕구(자기 일관성)로 인해 자신이 옳다고 판단한 것을 행동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동기, 즉 도덕적 책임감이 촉진된다. 라 하셔서요.
1.순서상 도덕적 책임감이 먼저고 자기일관성이 나중아닌가요? 아님 순서 상관없이 같이 동기로 작용한는 건가요?
2.도덕적 책임감과 책임판단은 같은 것인가요?
3.도덕적 동기화는 자기일관성만 해당되나요 아님 책임판단도 해당되나요...
어이없는 질문 죄송합니다. 블라지는 용어가 넘 많아 잘 정리가 안되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