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박성재
- 등록일
- 2018년 10월 03일 16시 33분
- 조회수
- 71
- 첨부파일
-
1. 피터스는 타율적, 인습적 도덕성 단계에서 합리적, 자율적 도덕성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어린 시절에는 이성이 계발되어 있지 않으므로 바람직한 도덕규칙, 도덕적 행동을 일방적이고 반복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습관화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도덕교육의 역설 해소 논리에서 보면 습관은 이성의 참여가 배제된 기계적 반복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습관을 포함한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이성이 계발되지 않은 아동이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는 것인가요?
2. 시민불복종 정당화 근거에서 차등의 원칙이 제외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차등의 원칙이 위배되는 것은 확인하기 어렵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까요?
3. 덕교육론에서 목적론적 관점을 부활시키는 것과 덕의 배경인 실천, 서사, 전통은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인가요?
목적론적 관점을 부활시킴으로서 공동체의 전통, 역사, 목적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알겠는데, 그것이 덕의 배경들과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4. 정약용은 만물의 보편적 리 또는 주재자로서의 천리를 부정한다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리의 소당연 뿐만아니라 리의 소이연의 측면도 부정한 것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