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무어의 자연주의 오류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10월 10일 22시 21분
- 조회수
- 21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니다.
1. 비자연적인 실재란 특정한 시공간 내에 존재하면서 감각 지각될 수 있는 실재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쾌락은 어떤 대상이 지닌 특정한 성질에 대한 경험으로 인해 우리 내부에 발생하는 심리적 상태입니다. 이처럼 쾌락은 경험 세계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적인 성질이라 명명하는 것입니다.
2. "쾌락은 선이다.”라는 문장이 오류인 이유는 비자연적인 실재이자 정의될 수 없는 단순 관념인 선을 쾌락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3. 선과 좋음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도덕의 영역에서는 동의어로 사용됩니다.
공리주의에서 옳음의 의미는 좋음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좋음과 옮음은 동의어가 아닙니다.
덕 윤리학에서도 좋음과 옳음은 동의어가 아닙니다. 덕 윤리학에 따르면, 옳음은 덕이 바탕이 되는 공동체의 선에 근거하여 그 의미가 확정되는 것입니다.
원리중심윤리학 중 칸트의 의무론에서도 좋음과 옳음은 같은 개념이 아닙니다.
▒▒▒▒▒▒ [송미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무어의 자연주의 오류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자연주의 오류란
① '선 그자체'와 '선한것' 혹은 '선 그자체'와 '선한 것이 지닌 자연적 특성'의 구분을 무시하고 선을 선한것 혹은 선한 것이 지닌 자연적 특성과 동일시하여 선을 정의하려는 모든 시도, 즉 비자연적인 실재로서 정의할 수 없는 궁극적 단순관념인 선을 쾌락과 같은 자연적인 성질로 정의하는 오류
② 사실과 가치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실판단만을 전제로 하여 가치판단 혹은 당위판단을 도출하는 모든 시도
라고 되어있습니다!
1. 여기서 먼저 선은 비자연적 실재 = 존재하지 않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실재? 로 이해하면 되나요?
그리고
쾌락과 같은 자연적인 성질 은 어떻게 이해해야하나요? 자연적인 성질 이란 말이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2. 그리고 "쾌락은 선이다" 에서 쾌락이 = 사실이고 / 선이 = 당위로
사실에서 당위를 도출해낸것이 오류라는 것인가요?
아니면 쾌락은 선이다 라는 전체문장이 사실이고 그러므로 쾌락을 추구해야한다라는 당위를 도출해낸 것이 오류라는 것인가요?
+
3. 1) 일반적으로 선하다 = 좋다 라는 개념이 동일한 것인가요?
159p 기출문제 4번 갑 지문 누군가가 "어떤 것이 좋다(선하다)~ " 이렇게 되어있는데
163p 덕 윤리에서 성품을 판단할때 좋음 이란 말을 쓴다고 합니다.
제가 알기로 예를들어 공리주의가 쾌락을 선으로보고 이를 최대로 증진시키는 것을 옳은 것으로 보니까 선 = 옳음 인데 > 2) 선과 옳음을 동일시하는 것이 잘못된것인가요?
선하다와 좋다가 동일한 개념이라면 혹은 선과 옳음이 동일한 개념이라면 선=옳음=좋다 가 됩니다.
그러면 덕윤리에서 좋음이란 옳음과 동일시되니까 기존의 원리 중심 윤리학과 용어상 차이가 없다고 생각이 되서 질문드립니다!
가치어들의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지않아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ㅠㅠ
매번 죄송하고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