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주희의 성리학

작성자
송미정
등록일
2018년 10월 13일 23시 57분
조회수
248
첨부파일
1. 주희 본연지성 기질지성 설명에서 형기와 형질 개념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2. 이일분수 설명에서 개별자들이 유행한다는 것의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ex) 인.의.예.지는 모두 이의 유행이다. 3. 주희의 인설에서 공심이라고 표현되어있는데 공평하고 사사롭다는 점에서 공자의 인과는 다른 것인가요? 아니면 그저 사사롭지않음 즉 사리사욕을 멀리한다는 점에서 공자의 인과 기본관점은 동일한가요 3-2. 순자는 따로 인을 설명하지 않나요? 4. 칠정에 악정이 있다는 문제점이 주희에게 왜 제기된거죠? 마음안에 성과 정이 있는데 여기서 성이 발한것이 정이잖아요. 그중에서도 순선무악한 본연지성인 사덕이 발하여 정(=사단)이 표현된 것이면 사단도 당연히 선해야하는데 정에는 악정인 슬픔, 싫어함, 두려움, 노여움 등의 칠<<정>>도 포함되기 때문에 사단=정 으로 보는 것에 문제가 제기되었고, 이를 이황과 이이가 각자 해결하려고 했다는 맥락인가요? 4-2. 악정이 칠정중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4-3. 기출문제 주희 7번에서 천리와 마음의 본성은 연원이 같다고 합니다. 사실 전체적으론 이해가 갔습니다. 그런데 마음의 본성은 본연지성만을 가르키는 것이 아니라 기질지성+본연지성을 가르키는 개념 아닌가요? 아니면 본연지성을 줄여 본성이라고 말하는 것인가요? 심통성정에서 성(리,사덕)과 정(리+기,사단)이 합쳐진게 마음인데 여기서 마음의 본성이란 성(리,사덕)만을 말하는 것인가요? 4-4. 성리학의 성즉리와 양명학의 심즉리 비교에서 마음의 본성과 마음의 본체가 개념상 어떻게 다른 것인가요? 마음의 본성은 정을 제외한 성만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마음의 본체는 마음 자체 성 정을 모두 포괄한 개념인가요? 4-5. 그리고 덧붙여서 주희도 이이처럼 기질지성 안에 본연지성이 포함되어 있다고 봐도 될까요? 5. 태극이 태초의 일기 를 말하는 것인가요? / 아니면 일기 안에 들어있는 리만을 가르켜 태극이라 하는 것인가요? (태초의 일기가 음과 양으로 나뉘어 순환운동을하고 그것은 또 오행으로 나뉘어 결합운동을 한다 는 설명에서) 5-2. 그리고 교재 주석을 보면 주희는 시간적 출발점으로서의 태초의 존재를 부정한다고 합니다. 우주는 음과 양의 순환이므로 창조의 기점은 존재할 수 없다고 말하면서요.. 태초의 존재는 일기, 즉 태극 아닌가요?(제가 위에 질문드린게 태극= 태초의 일기가 맞다면) 5-3. 또한 음과 양의 기에도 리가 존재하는 것이죠? 모든 존재는 리+기 이니까요. 6. 논리적으로 리가 기에 선행한다와 같이 논리적으로 이와 기는 섞일 수 없다 도 맞는 설명인가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