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품성상태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10월 17일 21시 43분
조회수
15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말씀하신 품성상태에 대한 정의는 성품의 탁월성에만 해당되는 것이고, 지적인 탁월성과 관련하여 사용된 품성상태는 굳어져 있는 내적 성향이라는 일반적 의미만을 가집니다. 2. 탁월성이 올바른 품성상태인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이 정의는 아무런 의무도 없습니다. 탁월성의 구체적인 종류와 각각의 성격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3. 능력이란 감정을 경험하는 마음의 능력 혹은 기능입니다. ▒▒▒▒▒▒ [김진욱 회원님의 글] ▒▒▒▒▒▒ 1. 품성상태란 외부로부터 생겨나는 감정들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취하게 되고 나쁜 태도를 취하게 되는 그러한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교재에 철학적 지혜, 직관적 지성, 학문적 인식, 기예 이 네 가지가 왜 품성상태라고 정의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사람의 품성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그가 지혜롭다거나 이해력이 있다고 하지 않고, 온화하다거나 절제있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지혜로운 사람을 칭찬하는 것도 역시 영혼의 상태에 근거한 것이다. 영혼의 상태들 중에서 칭찬받을만 한 것을 우리는 탁월성이라고 부른다.") 2. 탁월성과 올바른 품성상태는 동의어입니까? 3. 영혼에서 생겨나는 세 가지 중 '능력'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이 있습니까?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