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묵가와 유교 그리고 불교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8년 10월 23일 23시 23분
조회수
7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묵가는 유가의 인을 차별적 사랑으로 보고, 인정(仁政)을 본질로 하는 덕치에 반대합니다. 2. 고(苦)는 쾌락에 반대되는 고통을 의미의 개념이 아니라, 자성을 갖지 않는 나를 참으로 있는 것으로 보고 그것을 유지하려는 불가능한 과업으로 인해 온갖 번뇌 속에서 힘들게 살아 가는 상태를 지시하는 용어입니다. ▒▒▒▒▒▒ [서수림  회원님의 글] ▒▒▒▒▒▒ 묵가, 불교 질문드립니다. 묵가 - 묵가가 유교적 덕목인 예 자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고 , 번잡한 예. 악 등만을 거부한 것인가요? (절용과 유학 비판 설명에서) 장례같은 것이요 ! - 그리고 묵가도 유가처럼 덕치를 인정하나요? 불교 - 인간의 현실적 삶의 모습을 고통이라고 보기보다는 괴로움이라고 봐야한다고 되어있는데 그 이유는 고통과 쾌락이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 힘듦이기때문이라고 나와있는데요.. 이 말이 잘 이해가 가질 않네요 ㅜㅜ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