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스토아학파의 정념

작성자
김상형
등록일
2018년 11월 05일 11시 06분
조회수
92
첨부파일
교수님 안녕하세요 정념에 대해서 혼동이 와서 질문드립니다. '모든 정념 제거' 라는 표현은 틀린표현이라는 것은 알겠습니다. 왜냐하면 스토아학파는 자연스러운 정념(자개애, 부모애 등)은 인정하고, 정념안에는 자연스러운 정념(자기애, 부모애 등)과 비자연스러운 정념(슬픔, 쾌락, 공포 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1.질문) '정념안에 자연스러운 정념과 비자연스러운 정념으로 나뉘는게' 맞는 것인가요? 제가 생각하기에 '정념 제거'라는 표현은 틀린것 같은데 교수님의 말씀 중에 스토아학파는 정념을 제거해야한다는 뉘앙스로 들리는데 2.질문) '정념 제거'라는 표현이 맞는 것인가요? 저는 '정념 제거'표현보다는 '정념의 해방, 극복, 벗어남, 제어, 조절, 억제' 표현이 맞는 것 같아서요. 정념안에는 자연적인 정념도 포함되어 있다고 보는데 스토아 학파는 자연적인 정념(부모애)을 인정하기에 '정념 제거'라는 표현을 쓰면 곧 자연적인 정념도 제거해야 한다고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가 생각하기로 정념은 욕구, 감정이 해당되는데 인간이 욕구와 검정을 제거하고 살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3.질문)'일시적, 충동적 정념'이 비자연적 정념(슬픔, 쾌락, 공포)에 국한되서 쓰는 말인가요? 아니면 정념(자연스러운 정념 + 비자연스러운 정념) 그 자체에 쓰는 표현인가요? 4.질문) 교수님의 문제풀이를 보면 스토아학파는 비이성적이고 비자연적인 정념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부모애, 자기애 같은 것은 자연적인 정념으로 보면 되나요? 결론은 '정념 제거'라는 표현이 틀린 것 같은데 맞는 표현으로 교수님이 사용하시는 것 같아서 수능기출문제를 봐도 스토아 학파의 '정념 제거'라는 표현은 나와있지 않아서요. 그런데 지학사 교과서를 보면 "억울한 일을 당했다는 생각을 제거하면 억울하다는 정념 또한 사라진다." 라는 표현이 나오고, 수능 기출 문제집을 보면 '아파테이아 = 정념이 없는 이상적 상태'로 보는데 이에 따라 '정념 제거'를 사용해도 되는 것인가? 라고 혼동이 오네요 질문 4가지에 답해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두서없이 장황하게 질문했네요.^^; 교수님 답변 꼭 부탁드리겠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