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통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송미정
- 등록일
- 2018년 11월 17일 21시 26분
- 조회수
- 56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통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1. 통일교육론 1장 기출문제 3번 에서
북한 주민의 생활사를 중심보다 노동당 역사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 입장이 외재적 접근인데요, 노동당 역사는 북한의 내부에서 바라본 것 아닌가요?
이게 왜 외재적 접근인지 이해가 안가네요. 그
2. 국제관계 이론에서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통합과 관련하여 물질적 요소보다는 관념 규범 정체성을
강조한다고 하는데 여기서 물질적 요소가 법, 제도 및 권위체라고 볼 수 있나요?
2-2.그리고 저위정치(하위정치)를 비정치적 영역과 같은 개념으로 봐도 무방한가요?
3. 수렴적통합이론은 통일문제와 체제문제를 수렴론의 틀 속에서 한꺼번에 다루고 있다는 데에서
연방주의와 차이를 보인다. 이부분에서, 연방주의와 차이를 보인다고하는데..
통일문제, 체제문제를 한꺼번에 다루기때문이라는 말이 잘 이해가 안가네요..
4. 현실주의가 국제관계를 개별 국가들 사이의 무정부적 투쟁상태라고 보는데요,
개별국가마다 정부가 있지만 국제적인 하나의 통합된 정부가 없어서 무정부상태라고
말하는 것인가요?
4-2. 더불어 자유주의도 무정부상태라고 하셨는데, 이때문에 국가 중심성을 비판하고, 시장과 사회문화적 교류에 의한 협력성을 강조하게되는 것인가요? ..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