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8년 11월 18일 10시 26분
- 조회수
- 34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중용은 감정과 행위의 선택에 있어서 지나침에 따른 악덕과 모자람에 따른 악덕을 배제하고 항상 중간을 취하는 품성상태로서, 그것은 성품의 탁월성의 본질입니다. 따라서 절제, 용기, 정의, 친애 등 모든 종류의 성품의 탁월성은 모두 중용입니다. 주어진 어떤 상황에서 무엇인 중간인지, 달리 말해서 무엇이 올바른(마땅한) 행위인지를 정확히 아는 것은 올바른 이성적 숙고의 결과물, 즉 올바른 합리적 선택의 결과물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의 합리적 선택과 자제력 없는 사람의 합리적 선택은 모두 올바른 합리적 선택입니다. 요컨대 둘 모두 어떤 특정한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마땅히 해야 할 행위(덕)가 무엇인지, 즉 중용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입니다.
이처럼 실천적 지혜를 지닌 사람과 자제력 없는 사람은 어떤 특정한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마땅히 해야 할 행위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입니다. 따라서 그들의 합리적 선택은 그 내용에 있어서 동일합니다. 그런데 실천적 지혜는 단순한 합리적 숙고 능력으로만 제한되는 지적인 탁월성이 아닙니다. 그것은 그것을 지닌 사람으로 하여금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판단한 것에 따라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성입니다. 따라서 실천적 지혜를 지닌 사람의 합리적 선택은 반드시 실천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므로 실천적 지혜를 지닌 사람은 결코 자제력 없는 사람일 수 없습니다. 반면에 자제력 없는 사람의 합리적 선택, 달리 말해서 중용에 대한 앎은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앎입니다. 요컨대 실천적 지혜를 지닌 사람과 자제력 없는 사람의 근본적 차이점은 그들의 내린 합리적 선택의 내용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합리적 선택에 따른 활동에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니코마코스 윤리학 2권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중용은 실천적 지혜를 지닌 사람이 규정하는 방식으로 규정된다.’라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자제력 없음의 성격을 논하는 7권에서 그는 ‘자제력 없는 사람은 올바른 행위의 원리를 아는 사람’이라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문제는 ‘실천적 지혜를 소유하지 못한 자제력 없는 사람이 올바른 행위의 원리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어떻게 중용을 알 수 있는가?)’ 혹은 ‘어떻게 자제력 없는 사람의 합리적 선택이 올바른 합리적 선택일 수 있는가?’이겠지요. 이 문제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도 있는 논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는 실천적 지혜를 지니지 않은 사람들이 때때로 올바르게 숙고하여 판단하는 것은 경험이 알려주는 자명한 사실이고, 이러한 자명한 경험적 사실을 거부해서는 안 된다는 관점에서 자제력 없음이라는 현상을 다룹니다. 요컨대 자제력 없는 사람은 중용이 무엇인지를 아는 사람, 자신이 처한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올바르고 마땅한 행위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지만, 자제력 없음으로 인해(=덕을 소유하지 못함으로 인해) 그러한 앎을 활동으로 전환시킬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입니다. 따라서 해당 선택지를 ‘중용이 무엇인지 알지만 의지가 나약하면 중용을 실천할 수 없다.’로 수정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과 부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김진욱 회원님의 글] ▒▒▒▒▒▒
2019수능 윤리와 사상 2번 <보기>중
ㄱ. 중용이 무엇인지 알면 의지가 나약해도 반드시 중용을 실천한다.
라는 오답이 있습니다.
아래는 제가 알고 있는 배경 지식입니다.
'중용이 무엇인지 아는 것'은 실천적 지혜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실천적 지혜는 올바른 합리적 선택에 반하여 행동하지 않으며, 항상 중용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자제력 없는 사람은 올바른 행위에 대한 앎을 소유하였지만, 감정이 본래 내렸던 합리적 선택에 반하여 행위의 주인이 되는 사태이다.
따라서 실천적 지혜를 갖춘 사람은 동시에 자제력 없는 사람일 수 없다.
여기서
질문1. 자제력 없는 사람이 원래 내렸던 올바른 행위에 대한 앎은 중용과는 무관한 앎입니까?
질문2. 중용의 덕은 실천적 지혜만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입니까?
질문3. 실천적 지혜의 올바른 합리적 선택과 자제력 없는 사람의 합리적 선택의 근본적 차이는 무엇입니까?
질문4. 문제 <보기>의 ㄱ.은 어떻게 수정해야 올바른 문장이 될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길어 죄송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