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콜버그와 블라지 모형
- 작성자
- 송미정
- 등록일
- 2018년 11월 23일 22시 53분
- 조회수
- 114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___^
1. 윌슨의 도덕교육에서 도덕교사의 역할 부분에서 중립적인 입장이 아니고,
권위를 가지고 합리적 절차가 요구하는 지식, 기술, 능력을 가르쳐야한다는 것이.
때로는 민주적으로, 권위적으로 이러한 기술능력을 최대한 기를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는 것인가요?
2. 더불어서 민주적과 중립적이라는 의미는 동일한 것인가요?
3. 그리고 주입하고 주창하는 게 전통적 인격교육론이라고 말씀하셨는데,
권위와 주입 의 차이는 즉 윌슨과 인격교육론의 차이는
권위와 주입이 이성에 근거했는지에 달려있는 것인가요?
권위와 주입이 비슷한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4. 마지막으로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에서
도덕적이해(도덕성) → 도덕적 정체성 → 내적 자아일치의 욕구 → 행동 인데
어느 한 지문에서 통합이 고도로 이루어지는 것은 도덕적 이해가 자아 개념의 한 부분이 될때
즉 도덕적 이해가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이 될때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될때)
이때 도덕적 이해에 머물렀던 도덕성은 적어도 원리상, 개인 성격의 한측면이 될 뿐만 아니라
더불어서 동기와 정서를 함께 가지게 된다고 합니다.
!!!!! 여기서 동기와 정서를 함께 가지게 된다는 말이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여기서 내적 자아일치의 욕구는 정서)
4-2. 더불어 콜버그는 도덕판단 , 의무판단, 책임판단이라는 심리적 과정을 거쳐
도덕적 행위가 산출된다고 보는데 이때 콜버그는 도덕판단에 개입하는 도덕성 발달 단계의 수준이 이 후 과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아, 도덕판단과 도덕적 행동사이에 단선적인(단계적인)관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블라지는 단선적관계, 심리적과정이 아닌가요?
단선적 관계가 아니라..통합적인 과정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