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1월 07일 08시 23분
조회수
8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저서로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것은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에우데미아 윤리학입니다. 이 중 에우데미아 윤리학은 이론의 체계성과 엄밀성이라는 점에서 매우 불완전한 저서로 평가받고 있고,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저서로 인정받고 있지 못한 실정입니다. 이와는 달리 대다수의 전문 학자들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전개되어 내용을 윤리학과 관련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완결된 관점으로 봅니다. 그래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내용과 에우데미아 윤리학의 내용이 상충할 경우, 전자의 내용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정한 입장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철학적 지혜의 성격에 대한 에우데이마 윤리학의 내용보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내용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 [김유나  회원님의 글] ▒▒▒▒▒▒ 선생님 저번 질문에 대한 답변 감사합니다! 오늘 서양윤리학사를 읽다가 또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선생님 교재에는 관조적 활동이 최고선(행복)이 될 수 있는 이유들 중 하나로 그것이 자기 충족적임이 적혀있습니다. (예컨대 정의로운 사람이 되려면 정의로울 대상을 필요로 하지만 관조적 활동은 그렇지 않음) 그치만 서양윤리학사에서는 (파일 첨부/형광펜 친 부분) 이론적 지혜는 자기충족적이지 않다고 적혀있습니다 어떻게 이해를 해야 좋을까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