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소크라테스, 플라톤 강의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 작성자
- 민수진
- 등록일
- 2019년 01월 08일 14시 45분
- 조회수
- 69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윌비스임용에서 교수님의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해당 사이트에 강의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올리는 게시판이 따로 없어서, 칼리폴리스 사이트에 질문을 올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ㅠ
제가 여쭤보고 싶은 점은 다음의 두 가지입니다.
1. 강의 내용을 토대로 제가 이해한 것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을 이성으로 보고, 이성은 진리에 대해 인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것인데요.
감각, 지각을 통한 인식에는 오류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진리를 인식할 수 없다고 본 것은 이해가 가는데,
이성은 그럼 그러한 오류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인지, 이성에 대한 절대적 신뢰가 어디서부터 나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불필요한 질문이지만 혹시 답변해주실 수 있나요?.... ㅠㅠ
2. 플라톤이 말하는 '좋음의 이데아'의 성격에 대한 질문인데요. 좋음의 이데아는 존재의 근거이자 인식의 근거가 된다고 했습니다.
이때 저는 존재의 근거와 인식의 근거는 연결되는 것이라고 이해를 하였는데요.
좋음의 이데아가 개별 존재자들이 존재할 수 있는 존재의 근거가 되기 때문에
그 개별 존재자들이 인식의 대상으로서 존재할 수 있고 따라서 좋음의 이데아는 인식의 근거로도 작용하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이런 식으로 이해해도 괜찮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인식의 목적이 본질에 대한 파악에 있기 때문에 존재의 근거인 좋음의 이데아가 인식의 근거가 된다고 보아야 하나요?
좋음의 이데아가 인식의 근거가 된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하는 게 바람직한 것인지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