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1월 15일 13시 24분
조회수
10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플라톤이 ‘국가’ 2권에서 수호자(phylakes)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수호자’는 넓은 의미의 수호자로서, 통치자와 방위자를 두루 일컫는 용어입니다. 이후 플라톤은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거쳐 ‘국가’ 3권에서 넓은 의미의 수호자를 두 부류로 구분하는데, 전자를 ‘통치자, 완벽한 수호자, 완전한 수호자, 참된 수호자’로 부르고, 후자를 ‘군인, 보조자, ‘협력자’로 명명합니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플라톤은 국가의 세 부분을 각각 ‘다스리는 부분’, ‘수호하는 부분’, ‘생산하는 부분’이라 부릅니다. ▒▒▒▒▒▒ [최진혁  회원님의 글] ▒▒▒▒▒▒ 국가의 세 부분과 관련하여 교재에서는 다스리는 부분(통치자) 수호하는 부분(군인, 보조자) 생산하는 부분(생산자), 이렇게 세 가지 구분으로 기재되어 있는데요. 수능 교재를 검토해 보니, 이상 국가의 수호자에 대해서 "나라를 지키고 보존하는 일에 관련된 사람들로, 통치자와 방위자를 아울러 표현한 말임. 수호자들 가운데 통치자가 될 수 있는 자격은 50세 이상이 되어야 하고 이데아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하며, 어떠한 덕에서도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아야 함"이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호자를 (다스리는 부분, 수호하는 부분)으로 간주하는 게 적절할까요? (수호하는 부분, 군인, 보조자, 방위자)로 간주하는 게 적절할까요? 혹여나 답안을 쓸 때 헷갈릴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 ㅜㅜ.. 감사합니다 !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