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플라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1월 22일 18시 45분
조회수
9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혼의 각 부류가 서로들 참견하는 일도 없도록 하는 반면”에서 참견하는 일이 없다는 것은 영혼을 구성하는 각 부분이 각자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훌륭히 수행하는 한편, 다른 부분의 역할을 하려고 해서는 안 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이성적인 부분이 기개적인 부분의 일을 하려 한다거나, 기개적인 부분이 욕구하는 부분의 일을 하려고 하는 사태가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영혼의 세 부분의 조화는 이성이 다른 부분을 이끌고(지배하고), 다른 부분은 이성의 요구에 복종함으로써 자신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때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말씀하신 문장은 결코 모순된 문장이 아닙니다. 2. 플라톤에 의하면, 올바름(정의)의 덕은 영혼에 존재하는 여러 것들의 조화와 통합을 이루어내는 덕입니다. 말씀하신 원문의 내용은 이를 말하고자 한 것입니다. 3. 플라톤에 의하면, 질서 잡힌 건전한 영혼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가 곧 행복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질서잡힌 건전한 영혼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는 올바름의 덕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올바름의 덕을 소유한 상태가 곧 인간의 행복한 상태입니다. 행복은 인간의 그 자체로 바라는 좋은 것이므로, 올바름 또한 그 자체로 좋은 것이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올바름을 소유함으로써 행복해 지기 때문에, 올바름은 그것에서 생겨나는 결과 때문에도 좋은 것이 됩니다. ▒▒▒▒▒▒ [손민지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플라톤 공부하다 이해가 안되어서 질문 남깁니다! ㅜㅅㅜ 1. p35원문에서 '참견은 안되지만 지배와 조화는 된다'라는 모순적 문장을 이해시켜주실 수 있을까요? 2.같은 원문에서 '또한 혹시 이들 사이의 것들로서 다른 어떤 것들이 있게라도 된면, 이들마저도 함께 결합시켜서는, 여럿인 상태에서 벗어나 완전히 하나인 ~' 이 문장이 너무 어렵습니다 교수님 ㅜㅜ 3.올바름이 그 자체로도 좋고 그것에 생겨나는 결과 때문에도 좋다. 라는 문장도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처음 공부 시작하는 만큼 지식이 깊지 않아서 부끄러운 질문들이지만 답변해주시면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본문

댓글목록

profile_image

손민지의 댓글

손민지 작성일 2019-01-22 18:53:10

너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