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기출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1월 23일 19시 42분
조회수
9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2. 감지작용은 독립적이고 선천적이며 객관적인 영원한 객체인 가치를 다른 어떤 매개체도 엇이 직접적이고 자립적으로 감지 혹은 직관하는 감정의 지향적 작용입니다. 이것이 감지작용의 역할의 모든 것입니다. 셸러에 의하면, 이성 작용과 지향적 감정 작용은 본질적으로 상이한 것입니다. 따라서 지향적 감정 작용을 이성 작용으로 설명하는 것은 잘못이며, 그리고 지향적 감정 작용은 의지 작용과도 구분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랑과 미움을 작용을 의지 작용으로 보는 것 또한 잘못입니다. 3, 4. 사랑의 작용은 우리에게 미지의 더 높은 가치를 드러내 보이는 지향적 감정 작용이고, 감지작용은 사랑의 작용에 의해 드러난 가치를 포착하는 지향적 감정 작용입니다. ▒▒▒▒▒▒ [서수림  회원님의 글] ▒▒▒▒▒▒ 1감지작용은 가치들을 향하여 나아가 그 가치들을 직관(포착)하여 가치 의식을 만들어낸 뒤 가치의식으로 만들어진 명제나 지식을 토대로 비교, 사고하는 등의 이성 작용을 하고, 또 더 나아가 의지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비교하는등의 이성작용은 선호와경시작용같고 의지작용은 사랑과 미움작용같아서요. 감지작용의 역할은 가치들을 파악하는 것 그 자체에 그치지 않나요? 2. 그리고 만약 감지작용의 역할을 적으라고 했을 때 가치들다른 어떤 매개체도 없어 직접적이고 자립적으로 감지하는역할을 한다고 하면 부족한 답안인가요? 3. 사랑의 작용이 이미 알고 있는 가치에 대한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작용이라고 하는데요, 이게 감지작용과 어떻게 다른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둘다 가치를 발견, 포착하는 작용 아닌가요? 4. 아니면 감지작용이 가치에 대한 단순한 반응이라는 점에서 사랑의 작용에서 차이를 보이는 건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