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유나
- 등록일
- 2019년 02월 01일 19시 18분
- 조회수
- 71
- 첨부파일
-
1. 윤리적 이기주의 (교재 356p)에서
2번 설명에서 '오직 자기이익만을 추구하고, 타인의 이익 추구 행위를 방해하지 말라'는 윤리적 이기주의의 원리는 나와 타인의 이익을 동등하게 고려하는 것을 함축하는 것 같은데,
3번 설명에서는 윤리적 이기주의는 나의 이익을 타인의 이익보다 더 우선되고 특별한 것으로 전제한다고 합니다
3번처럼 나의 이익을 타인의 이익보다 더 우선되는 것으로 전제하는 원리라면, 2번처럼 타인의 이익 추구 행위를 방해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두가지 설명중 한 원리를 잘못 이해했는지 두가지 논리가 상반되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2. 셸러의 '전형' 개념이 잘 잡히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모델이라고 하셔서, 대충 정의대로 이념적 가치들의 통합체, 모델로 이해를 했는데
이렇게밖에 이해를 못했습니다.. ㅠㅠ
쾌락가치, 유용가치, 생명가치, 정신적가치, 종교적가치 등 5가지 양태에 해당하는 가치가 아니라 이것에 대응하는 가치들의 이념이라고 적혀있는 영웅, 천재, 성자 등을 말하는 건가요?
인물을 가르키는 개념이라 존재 당위라고 하는것인가요? 아니면 그냥 가치를 뜻하는거라 그 가치의 부재를 아쉬워하고 있어야된다고 하는 의미에서 존재 당위인가요?
내용적 부분에 있어서도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목록들 자체를 그냥 전형이라고 부르는건지, 아니면 인격처럼 사람마다 다 다르게 가지고 있는지 위계질서가 거꾸로 될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다른 부분은 전부 이해가 되었는데 이 전형이 무엇을 말하는건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ㅠㅠ
3. 로스의 조건적 의무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로스가 말하는 '절대적 의무'란 무엇인가요?
로스는 칸트가 절대적 의무와 조건적 의무를 구분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는데
로스에게 있어서 절대적 의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조건부 의무중에서 직관으로 파악하여 선택된 실제적 의무가 절대적 의무인가요?
아니면 아무런 의무의 충돌상황이 없을때의 의무가 절대적 의무인가요?
로스에게 있어서 절대적 의무의 개념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