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소크의 지덕복합일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2월 03일 14시 31분
- 조회수
- 229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1. "용기라는 덕에 대한 지식을 소유함으로써 용기있는 사람이 된다" 이 부분에서 지식을 소유함으로써 용기있는 사람이 된다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 지덕복 합일설을 통해 설명된다고 하셨는데 이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지덕복합일설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강의한 기억이 없습니다. 어떤 맥락에서 제가 그렇게 강의했는지 좀더 구체적으로 서술해 주시면 검토한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덕이 지식이라는 말은 모든 덕의 공통 본질이 지식이라는 말이고, 이 때 지식은 본질적으로 최선의 인간 삶에 대한 참된 이성적 지식입니다. 이처럼 지식을 소유한 상태와 덕을 소유한 상태는 동일한 상태이고, 지식은 이성 활동을 통해 우리가 소유하는 것이므로, 덕의 소유 또한 이성 활동의 결과물입니다. 그리고 모든 인간은 이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이성을 통해 지식을 파악하고 전달할 수 있으므로, 지식을 본질로 하는 덕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것입니다.
▒▒▒▒▒▒ [김유진 회원님의 글] ▒▒▒▒▒▒
질문드립니다 !
1. 소크라테스의 지덕복합일설을 강의해주실때
"용기라는 덕에 대한 지식을 소유함으로써 용기있는 사람이 된다" 이 부분에서 지식을 소유함으로써 용기있는 사람이 된다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 지덕복 합일설을 통해 설명된다고 하셨는데 이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ㅠㅠㅠ
2. 덕의 교수가능성에서 "지식의 소유는 이성 활동의 결과물" 까지는 이해를 했는데
이성 활동을 매개로 한 덕의 가르침은 가능이라는 부분을 이해 못하겠습니다.
그 논리가 결국 덕 = 지식인데, 지식은 가르쳐질 수 있는거니까
덕도 가르쳐질 수 있다인건가요??
그리고 지식은 이성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데, 덕이 지식과 같으니 덕도 무조건 이성활동이 필요한것 아닌가요? ㅠ 저 부분은 이성활동을 할때 덕은 가르쳐질 수 있다 같이 느껴져서요 ㅠ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