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유나
- 등록일
- 2019년 02월 15일 20시 11분
- 조회수
- 91
- 첨부파일
-
1. 공자의 예가 법은 아니라고 하셨는데 교재에는 '제도, 의식, 법 등의~' 라고 나와있고 프린트에는 법을 제외하고 나와있는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2. 이이는 성발위정을 비판했다고 하는데, 정은 심이 발한 것이기 때문에 비판한 것이라는 설명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본인 또한 모든 종류의 정은 기질지성이 발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본인도 성발위정을 얘기하고있는 것 아닌가요?
3. 주희가 말한 성발위정에서 성은 본연지성(리, 인의예지)을 말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저는 설마 주희가 리발을 인정했을리는 없고 성이 마음의 작용을 통해 발했다고 이해했는데.. 이이가 성발위정을 비판한건 이 용어를 정확하게 심발위정으로 바꾸고싶었던 건가요? 만약 제가 잘못 이해하고있는거라면, 주희는 본연지성은 어떻게 발한다고 본건가요?
4. 심발위의의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검색해도 나오지가 않네요 ㅠㅠ '의'는 마음이 발동하여 계산하고 생각하는 것이라는데 왜 심발위의를 비판했나요? 한자 그대로만 해석해보자면 뜻은 비슷한 것 같아서요..
5. 지행호발과 지행병진은 같은 의미인가요? (주희, 이이) 아니면 구분해야하나요?
6. '교기질'이란 개념은 주희 부분에도 써있고 이이 부분에도 써있던데 그 기원(?)이 궁금합니다. 기출분석했을 때 저는 그냥 뒤까지 읽지 않고도 교기질임을 맞췄는데요, 딱히 이이임을 몰라도 풀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같이 기출분석 하시는 분들한테 이거 그냥 성리학이라고 생각해도 풀 수 있는 문제 아니냐고 여쭤봤더니 교기질은 이이의 독창적 개념(?)이라고 누가 또 그런 주장을 했냐고 하시더라구요. 저는 성리학 부분에서 설명해주실 때 한자로 정확히 적혀있어서 그게 더 제 머리에 박혔었거든요.. 이이 이전에 주희가 먼저 사용한 단어인가요?
질문이 너무 많네요 죄송합니다 ㅠㅠㅠㅠㅠㅠ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