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2월 18일 19시 05분
조회수
34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예법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 이이는 주희가 말한 성발위정에서 성을 기질지성으로 보았을 뿐, 성정 관계에 대한 주희의 성발위정 주장 자체를 부정한 적이 없습니다. 저 또한 강의 시간에 이이가 성발위정을 부정했다고 말씀드린 기억이 없습니다. 3. 질문과 답변 게시판 14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심발위의’, 즉 마음의 발하여 의가 나온다는 주장은 이이의 심성정의일로설과 함께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이가 심성정의일로설을 주장할 때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입장이 바로 ‘성발위정, 심발위의’입니다. 이 입장에 의하면, 정은 성이 발하여 나타난 것이고, 의는 마음의 발하여 나타난 것입니다. 결국 이 입장은 정과 의의 근원을 달리 보는 입장이자, 성과 마음 혹은 리와 기가 각각 발한다는 것을 긍정하는 입장입니다. 이이는 기발이승의 관점에서 이기호발을 부정하고, 마음에서 생겨나는 모든 것을 마음의 작용의 결과물로 보는 심성정의일로설의 관점에서 ‘성발위정, 심발위의’를 부정합니다. 5. 동일한 개념입니다. 6. ‘교기질’은 이이가 최초로 확립한 그의 독창적 개념이 아닙니다. 주희의 또한 수양의 원칙을 교기질을 말하고 있으니까요. 수양과 관련하여 이이의 독특함은 ‘교기질’을 수양의 원칙으로 최초로 확립했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이가 자신의 본체론과 심성론에 근거하여 교기질을 수양의 핵심으로 매우 강조했다는 점에 있습니다. ▒▒▒▒▒▒ [김유나 회원님의 글] ▒▒▒▒▒▒ 1. 공자의 예가 법은 아니라고 하셨는데 교재에는 '제도, 의식, 법 등의~' 라고 나와있고 프린트에는 법을 제외하고 나와있는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2. 이이는 성발위정을 비판했다고 하는데, 정은 심이 발한 것이기 때문에 비판한 것이라는 설명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본인 또한 모든 종류의 정은 기질지성이 발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본인도 성발위정을 얘기하고있는 것 아닌가요? 3. 주희가 말한 성발위정에서 성은 본연지성(리, 인의예지)을 말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저는 설마 주희가 리발을 인정했을리는 없고 성이 마음의 작용을 통해 발했다고 이해했는데.. 이이가 성발위정을 비판한건 이 용어를 정확하게 심발위정으로 바꾸고싶었던 건가요? 만약 제가 잘못 이해하고있는거라면, 주희는 본연지성은 어떻게 발한다고 본건가요? 4. 심발위의의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검색해도 나오지가 않네요 ㅠㅠ '의'는 마음이 발동하여 계산하고 생각하는 것이라는데 왜 심발위의를 비판했나요? 한자 그대로만 해석해보자면 뜻은 비슷한 것 같아서요.. 5. 지행호발과 지행병진은 같은 의미인가요? (주희, 이이) 아니면 구분해야하나요? 6. '교기질'이란 개념은 주희 부분에도 써있고 이이 부분에도 써있던데 그 기원(?)이 궁금합니다. 기출분석했을 때 저는 그냥 뒤까지 읽지 않고도 교기질임을 맞췄는데요, 딱히 이이임을 몰라도 풀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같이 기출분석 하시는 분들한테 이거 그냥 성리학이라고 생각해도 풀 수 있는 문제 아니냐고 여쭤봤더니 교기질은 이이의 독창적 개념(?)이라고 누가 또 그런 주장을 했냐고 하시더라구요. 저는 성리학 부분에서 설명해주실 때 한자로 정확히 적혀있어서 그게 더 제 머리에 박혔었거든요.. 이이 이전에 주희가 먼저 사용한 단어인가요? 질문이 너무 많네요 죄송합니다 ㅠㅠㅠㅠㅠㅠ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