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3월 11일 19시 18분
조회수
11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개체들의 이치 혹은 ‘만물의 이치는 서로 다르다’고 할 때 이치란 상이한 기의 품질에 영향 받아 형성된 개체들이 지닌 상이한 이치, 즉, 상이한 삶의 원리를 말합니다. 이를 ‘성’의 관점에서 말하면 개체들의 이치란 그들의 각기 다른 기질지성을 일컫는 것입니다. 2. ‘인심과 도심의 선악을 합하여 말한 것을 일러 칠정이라 하고, 도심 및 인심의 선한 부분을 일러 사단이라 한다.’라고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마음은 성정의을 통섭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이 감정보다 그 외연이 넓습니다. 따라서 감정으로 마음의 전체적 모습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3. 동일한 개념입니다. 4. 질문과 답변 게시판의 번호를 말합니다. 제가 보기에 동일한 혹은 유사한 질문으로 여겨지는 것에 대해서는 이전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살펴 보시고 원하는 답변이 아닐 경우 질문을 다시 올려 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김유나 회원님의 글] ▒▒▒▒▒▒ 1. '개체들은 서로 다른 기(氣)를 품수했기 때문에 이일이 개체들에서 상이하게 드러나 다양한 개체들의 이치가 형성된다.' 뒤에 더 읽어보면 이일-분수된 리는 같지만, 개체들의 이치는 서로 상이하게 드러난다고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이치'가 무엇인가요? 이이처럼 리(理)가 국한된다는 의미는 아닌 것 같고.. '기'에 대한 얘기를 하는 것을 보니 혹시 본성을 말하는 것인가요? 만물의 이치는 각각 다르다는 말에서 이치가 무엇을 뜻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당.. 2. '칠정은 인심과 도심의 선악을 합하여 말한 것이고, 사단은 도심 및 인심의 선한 부분이다' 에서 마음으로 감정을 설명하고 있는데 혹시 역도 가능한가요? '사단과 칠정을 모두 인심에, 사단과 칠정의 선한 부분을 도심에 배속시킨다' 처럼 감정으로 마음 설명을 하는 것도 가능한가용? 3. 키케로는 군주정 대신 '왕정'이라고 적혀있던데 군주정과 왕정을 구분해야 하나용? 4. 가끔 질문과 답변 게시판 ~번을 참고하라고 말씀해주시는데 어디서 찾는건가용? 14번이라고 하셔서 게시판 제일 끝까지 갔는데 제 질문이랑 다른 글이더라구요 ㅠ_ㅠ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