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19년 04월 01일 17시 22분
조회수
16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정치적 자유주의에서도 롤즈는 무지의 베일을 정의의 원칙에 대한 합의의 배경적 조건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 노직은 정의의 문제의 본질에 대한 전통적인 분배 정의론자들의 입장에 반대하기 때문에, ‘분배 정의’라는 용어는 노직의 정의론과 어울리는 용어라 할 수 없습니다. 이런 점에서 롤즈에 대한 비판에서 노직이 사용한 ‘정의로운 분배 문제’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왕양명이 당대 성리학자들을 비판하면서 그들의 용어를 차용하여 비판하였듯이, 롤즈를 비판하기 위해 분배 정의론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비협동적 상황에서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만 의존하여 획득한 이익의 정의로운 분배 문제에는 관심이 없는 체제'라는 구절을 노직의 정의론에 입각하여 해석하면, 그것은 ‘비협동적 상황에서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만 의존하여 획득한 이익에 대한 도덕적 응분의 문제에 대해 관심이 없는 체제, 달리 말해서 그러한 이익에 대한 소유권리의 문제에 대한 관심이 없는 체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입니다. 3. 왈쩌는 두 용어를 혼용합니다. ▒▒▒▒▒▒ [김유나 회원님의 글] ▒▒▒▒▒▒ 1. 교재에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 부분은 정의론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내용들인가요? 예를들면 무지의베일은 안적혀있는데 정치적 자유의 원칙 합의과정에서도 계속 전제하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상이한 포괄적 교리를 지닌 사람들의 합의', '구성의 산물' 등등의 내용을 읽어보면 마치 무지의 베일을 전제하지 않은 것 같이 읽히는데 합의된 원칙들을 보면 무지의 베일을 전제해야 될 것 같아서요 .. 혹시 이 부분이 샌델이 비판한 내용인가요? 무지의 베일로 인해 똑같은 상황에 처하는데 합의라는게 존재하냐는 그 비판에 해당되는건지 아니면 제가 잘못 이해하고있는건지 궁금합니다 2. 노직의 롤즈 비판에서 '비협동적 상황에서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만 의존하여 획득한 이익의 정의로운 분배 문제에는 관심이 없는 체제' 라는 부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개인이 노력을 통해 획득한 정당한 소유물은 노직에게 있어서도 분배 대상이 아니지 않나요? 왜 저렇게 비판하는 건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3. 왈쩌의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재화'는 섞어 사용해도 되는 용어인가요? 아니면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 용어인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