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서양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19년 04월 09일 09시 04분
- 조회수
- 177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2. 칸트가 실천이성이라 할 때 그것은 정확히 순수실천이성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개념에서 ‘순수’라는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 성격’을 지칭하는 용어고, ‘실천이성’이란 ‘이성의 실천적 사용’을 의미합니다.
3. 칸트에 의하면, 실천이성이 요구하는 객관적 원리, 즉 도덕법칙에 의해서만 규정된 의지가 선의지고, 도덕법칙은 그 자체가 선의지의 선 즉 도덕적 선에 해당합니다.
1, 4, 5번 질문과 관련하여 질문 내용을 좀 더 구체화하여(질문과 관련한 강의 내용 중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 어떤 이론, 어떤 논리 등이 이해되지 않는지…) 다시 올려 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김유진 회원님의 글] ▒▒▒▒▒▒
질문드립니다.
1.스피노자와 스토아 학파의 자유의지 차이
2. 칸트에게 실천이성 = 순수 실천이성인지? 그리고 칸트의 실천이성 = 일반적 서양 학자의 이성인지?
3. 실천이성에 의한 의무도 무조건적으로 선한것인지?
4. 정언명령 4정식과 5정식의 차이
5. 정언명령과 의무의 관계
위 질문이 궁금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