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유나
- 등록일
- 2019년 04월 10일 18시 40분
- 조회수
- 56
- 첨부파일
-
기출 91p 지문에서 (가)가 보편적 자연법칙의 정식이 아니라 보편법칙의 정식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저와 같은 질문에 답변을 확인했는데 '사유에서 내적 모순이 발생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보편법칙의 정식이라고 하셨는데, 이 제시문에서 '사유'는 어디서 해석해야 하나요??
에링턴을 읽어보았는데 보편법칙의 정식에서 거짓약속을 해석할때는 '자기 모순', '논리적 모순'이라는 단어를 쓰는데, 보편적 자연법칙의 정식에서는 '내적 모순'이라고 쓰더라구요
세 단어가 무슨 차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ㅜㅜ 아무튼 제시문에서 사유의 모순임을 어떻게 캐치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자연 체계에서의 내적 모순으로 해석해도 상관 없지 않나요??
그냥 내적 모순에 이른다고만 나와있지 구체적인 상황 설명은 안적혀있어서요..
아무도 믿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내적모순이라고 적혀있다면 보편법칙을 적었을 것 같고
자연 체계에 존재할 수 없다고 적혀있었다면 보편적 자연법칙을 적었을 것 같은데
아무 설명도 없이 그냥 내적 모순이라고만 적혀있는데 어떻게 보편법칙 위반을 이끌어 낼 수 있는건가요?
본문